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롱아일랜드 철도/노선

덤프버전 :


파일:LIRR_schematic.png
운행계통별 노선도와 운임구역

1. 도심 터미널 구역
2. 본선 계열 (롱아일랜드 시티 - 그린포트)
2.1. 롱콩코마 지선
2.2. 포트 제퍼슨 지선
2.3. 오이스터 베이 지선
2.4. 헴프스테드 지선
3. 몬토크 지선 계열 (배빌런 - 몬토크)
3.1. 웨스트 헴프스테드 지선
3.2. 배빌런 지선
3.3. 몬토크 지선
4. 애틀랜틱 지선 계열 (애틀랜틱 터미널 - 밸리 스트림)
4.1. 파 로커웨이 지선
4.2. 롱 비치 지선
5. 기타 계열
5.1. 포트 워싱턴 지선


1. 도심 터미널 구역[편집]


City Terminal Zone

자메이카역에서 분기되어 도심 지역 종점들인 펜역,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맨해튼)/롱아일랜드 시티역(퀸즈)/애틀랜틱 터미널(브루클린)로 향하는 자메이카 이서(以西) 구간을 통칭하는 이름. 전구간 전철화. 포트 워싱턴 지선을 제외한 모든 지선이 공통으로 경유하며, 포트 워싱턴 지선 열차들은 우드사이드(Woodside)역에서 분기한다. 자메이카역에서 에어트레인을 통해 존 F. 케네디 국제공항과 연계됨에 따라 공항철도의 역할도 하게 된다[1].

  • 펜역 계통
역명비고
펜역Penn Station
우드사이드Woodside[2]
포레스트 힐스Forest Hills[3]
큐 가든스Kew Gardens
자메이카Jamaica

  •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 계통
역명비고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Grand Central Terminal
우드사이드Woodside[4]
포레스트 힐스Forest Hills[5]
큐 가든스Kew Gardens
자메이카Jamaica

  • 애틀랜틱 터미널 계통
역명비고
애틀랜틱 터미널Atlantic Terminal[6]
노스트랜드 애비뉴Nostrand Avenue
이스트 뉴욕East New York
자메이카Jamaica

  • 롱아일랜드 시티 계통
역명비고
롱아일랜드 시티Long Island City
헌터스포인트가Hunterspoint Avenue[7]
자메이카Jamaica

2. 본선 계열 (롱아일랜드 시티 - 그린포트)[편집]



2.1. 롱콩코마 지선[편집]


본선의 힉스빌 이동(以東) 구간. 힉스빌 - 롱콩코마 구간 전철화.
롱콩코마-그린포트는 사실상 분리된 계통으로 운행(롱콩코마에서 환승 필요)하며 전철화되어있지 않고, 신호기 등 보안설비가 설치되지 않았다. 이는 해당 구간이 일 3.5왕복밖에 안될 정도로 적은 통과량을 보이기 때문.
역명비고
자메이카Jamaica
미니올라Mineola
힉스빌Hicksville
베스페이지Bethpage
파밍데일Farmingdale
파인론Pinelawn
와이언댄치Wyandanch
디어 파크Deer Park
브렌트우드Brentwood
센트럴 아이슬립Central Islip
롱콩코마Ronkonkoma[8]
메드포드Medford
야팽크Yaphank
리버헤드Riverhead
매티턱Mattituck
사우솔드Southold
그린포트Greenport

2.2. 포트 제퍼슨 지선[편집]


힉스빌 - 포트 제퍼슨. 힉스빌 - 헌팅턴 구간 전철화.
역명비고
자메이카Jamaica
뉴 하이드 파크New Hyde Park
메릴런 애비뉴Merillon Avenue
미니올라Mineola
칼 플레이스Carle Place
웨스트베리Westbury
힉스빌Hicksville
사이어셋Syosset
콜드 스프링 하버Cold Spring Harbor
헌팅턴Huntington
그린론Greenlawn
노스포트Northport
킹스 파크Kings Park
스미스타운Smithtown
세인트 제임스St. James
스토니 브룩Stony Brook[9]
포트 제퍼슨Port Jefferson[10]


2.3. 오이스터 베이 지선[편집]


미니올라 - 오이스터 베이. 비전철.
역명비고
미니올라Mineola
이스트 윌리스턴East Williston
앨버트슨Albertson
로슬린Roslyn
그린베일Greenvale
글렌 헤드Glen Head
시 클리프Sea Cliff
글렌가Glen Street
글렌 코브Glen Cove
로커스트 밸리Locust Valley
오이스터 베이Oyster Bay


2.4. 헴프스테드 지선[편집]


자메이카 - 헴프스테드. 전구간 전철화. 실 운행 계통 상으로는 종점이 브루클린의 애틀랜틱 터미널이다[11].
역명비고
자메이카Jamaica
홀리스Hollis
퀸스 빌리지Queens Village
엘몬트Elmont[12]
벨러로즈Bellerose
플로럴 파크Floral Park
스튜어트 매너Stewart Manor
나소 블러바드Nassau Boulevard
가든 시티Garden City
컨트리 라이프 프레스Country Life Press
헴프스테드Hempstead[13]


3. 몬토크 지선 계열 (배빌런 - 몬토크)[편집]



3.1. 웨스트 헴프스테드 지선[편집]


밸리 스트림 - 웨스트 헴프스테드. 전구간 전철화.
주말에는 웨스트 햄프스테드-밸리 스트림 구간만 반복 운행.
역명비고
자메이카Jamaica
세인트 올번스St. Albans
밸리 스트림Valley Stream
웨스트우드Westwood
맬번Malverne
레이크뷰Lakeview
헴프스테드 가든스Hempstead Gardens
웨스트 헴프스테드West Hempstead

3.2. 배빌런 지선[편집]


몬토크 지선 내 전철화 구간의 별도 명칭.
역명비고
자메이카Jamaica
록빌 센터Rockville Centre
볼드윈Baldwin
프리포트Freeport
메릭Merrick
벨모어Bellmore
왠태그Wantagh
시포드Seaford
매사피콰Massapequa
매사피콰 파크Massapequa Park
애미티빌Amityville
코피애그Copiague
린든허스트Lindenhurst
배빌런Babylon


3.3. 몬토크 지선[편집]


롱아일랜드 시티 - 몬토크. 배빌런 이서 구간 전철화.
대부분의 펜역 직통 몬토크 지선 열차의 경우 몬토크 지선의 선로를 이용(세인트 올번스역 경유)하지 않고 본선과 롱콩코마 지선의 베스페이지역, 중앙 지선(Central Branch)를 경유하여 직통으로 배빌런역까지 오는 경우가 많다. 고밀도 배차는 패초그역까지 이루어지며, 통근 열차는 스피옹크역까지만 운행한다.[14]
역명비고
배빌런Babylon
베이 쇼어Bay Shore
아이슬립Islip
그레이트 리버Great River
오크데일Oakdale
세이빌Sayville
패초그Patchogue
벨포트Bellport
매스틱 셜리Mastic Shirley
스피옹크Speonk
웨스트햄튼Westhampton
햄튼 베이스Hampton Bays
사우스햄튼Southampton
브리지햄튼Bridgehampton
이스트 햄튼East Hampton
애머갠셋Amagansett
몬토크Montauk

4. 애틀랜틱 지선 계열 (애틀랜틱 터미널 - 밸리 스트림)[편집]



4.1. 파 로커웨이 지선[편집]


밸리 스트림 - 파 로커웨이. 전구간 전철화.
역명비고
자메이카Jamaica
로커스트 매너Locust Manor
로럴턴Laurelton
로즈데일Rosedale
밸리 스트림Valley Stream
깁슨Gibson
휴렛Hewlett
우드미어Woodmere
시더허스트Cedarhurst
로런스Lawrence
인우드Inwood
파 로커웨이Far Rockaway[15]


4.2. 롱 비치 지선[편집]


밸리 스트림 - 롱 비치. 전구간 전철화.
역명비고
자메이카Jamaica
로커스트 매너Locust Manor
로럴턴Laurelton
로즈데일Rosedale
밸리 스트림Valley Stream
린브룩Lynbrook
센터 애비뉴Centre Avenue
이스트 로커웨이East Rockaway
오션사이드Oceanside
아일랜드 파크Island Park
롱 비치Long Beach


5. 기타 계열[편집]


  • 센트럴 지선: 베스페이지(본선) - 배빌런(몬토크 지선). 비전철. 본선과 배빌런 지선 사이의 연결선로이다.
역명비고
베스페이지Bethpage
배빌런Babylon

  • 벨몬트 파크 지선: 자메이카 - 벨몬트 파크. 벨몬트 파크 경마장 경기가 있을 때만 운행하는 부정기 노선.
역명비고
벨몬트 파크Belmont Park

5.1. 포트 워싱턴 지선[편집]


우드사이드역 - 포트 워싱턴역. 전구간 전철화. 우드사이드역 - 그레이트 넥역 구간 복선, 그레이트 넥역 - 포트 워싱턴역 구간 단선.

우드사이드역에서 종착하는 것은 아니고, 모든 열차가 본선을 통해 뉴욕 펜역이나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로 직통한다. 타 노선과는 다르게 자메이카역을 거치지 않고 바로 뉴욕 펜역이나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으로 간다. 따라서 LIRR 노선 중 가장 운용이 자유롭다.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 ~ 우드사이드역 ~ 플러싱-메인가역 구간은 뉴욕 지하철 7호선과 노선이 비슷한데, LIRR은 이 구간에서 급행 내지는 특급 역할을 하고 있다. 플러싱 이동 구간은 역간 거리가 짧아져서, 플러싱-메인가역 ~ 리틀 넥역 구간에서는 도시철도의 역할도 겸한다.

더불어 이 구간은 뉴욕 메츠의 홈구장인 시티 필드와 바로 옆에 위치한 US오픈 테니스 대회장인 아서 애쉬 경기장을 경유하기 때문에, 메이저 리그 시즌과 8월 하순에서 9월 중순 사이에는 이 두 경기장의 소재지인 Willets Point에서 정차하며 또 상당히 붐빈다.

미국 동부 현지 시각 2021년 1월 4일, 한국 시각 1월 5일에 모든 역의 문서가 작성되었다.

역명비고
우드사이드Woodside
메츠-윌레츠 포인트Mets-Willets Point[간이역]
플러싱-메인 스트리트Flushing-Main Street
머리 힐Murray Hill
브로드웨이Broadway
오번데일Auburndale
베이사이드Bayside
더글러스턴Douglaston
리틀 넥Little Neck
그레이트 넥Great Neck
맨해셋Manhasset
플랜돔Plandome
포트 워싱턴Port Washington


[1] 자메이카역에서 하차, 에스컬레이터나 계단을 통해 위로 올라가면 에어트레인과 곧바로 연결된다. 단 메트로카드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고 출국자들은 편도만 사면된다.[2] 뉴욕 지하철 61가-우드사이드역과 환승[3] 뉴욕 지하철 포리스트 힐스-71번가역과 환승[4] 뉴욕 지하철 61가-우드사이드역과 환승[5] 뉴욕 지하철 포리스트 힐스-71번가역과 환승[6] 뉴욕 지하철 애틀랜틱가-바클리스 센터역과 환승[7] 뉴욕 지하철 헌터스 포인트가역과 환승[8] 운행계통 분리 기점이자 롱아일랜드 맥아더 공항과 연계된 공항철도역 기능도 하고 있다.[9] 스토니브룩 대학교 캠퍼스에 바로 인접해있다.[10] 여기서 페리를 타면 코네티컷으로 건너가 메트로 노스 철도 뉴헤이븐선의 브리지포트역까지 갈 수 있다.[11] 애틀란틱 터미널 - 노스트랜드 애비뉴{Nostrand Ave.} - 이스트 뉴욕{East New York}.[12] 1976년 이후로 거의 50년만에 생기는 신설역으로, 2021년 11월 동쪽 헴프스테드 방향으로 가는 플랫폼이 먼저 개통되고 서쪽 자메이카, 펜 역 방향 플랫폼은 2022년 10월 개통했다.[13] 지역 대학교인 호프스트라 대학교(Hofstra University) 소재지이다. 대학 셔틀버스가 역 앞에 정차한다.[14] 스피옹크 이동의 경우 하루 열차 운행편수는 6.5왕복이며, 이 구간은 북미에서 마지막으로 통표식 폐색이 이루어졌던 구간이기도 하다.[15] 뉴욕 지하철 파 로커웨이-모트가 역과 환승. 참고로 뉴욕시 경계 안에 있지만 LIRR로는 나소 카운티를 거쳐야만 진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3구간이 아닌 4구간으로 들어간다.[간이역] 뉴욕 메츠 경기와 US오픈 기간 한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0:28:34에 나무위키 롱아일랜드 철도/노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